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정보/금융정보

2030세대 주목! 청년지원 혜택

반응형

 

요즘 2030세대 청년들을 지원해주는 청년지원 혜택들이 많다. 유사한 청년 지원 프로그램에 중복으로 지원이 불가능 하니 꼼꼼하게 체크하여 내게 더 맞는 프로그램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정책들을 비교해 보자.

 

청년희망 키움통장

생계수급 가구 중 만 15세 ~ 39세 이하 청년이고 근로활동 중이고 근로·사업소득이 발생하고 있는 일하는 생계수급 청년이 가입할 수 있으며, 매월 근로소득공제금으로 저축하고 본인의 근로사업소득금액에 따라 정부 지원급이 적립되고 적립된 지원금은 탈수급 시 수령할 수 있다. 다만, 유사자잔형성지원사업에 현재 참여하고 있거나, 과거 이러한 사업의 혜택을 받은 경우 중복 참여가 불가하다.

 

지원대상

청년희망키움통장 가입을 위해서는 아래 2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한다.

1.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인 생계수급 가구의 청년(만 15세 ~ 39세)

2. 가입일 현재 근로활동을 하고 있는 청년

※ 청년 개인의 가입기준 충족 시, 타 가구원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가입이 가능하다.

가입문의 및 접수처

읍면동 주민센터로 문의

가입기간

3년 / 만기일시지급식

청년희망키움통장 지원예상금액

 

지원예상금은 아래 하나은행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www.hopegrowing.com/younghope02.jsp

 

상세지원안내 | 청년희망키움통장 | 희망내일키움통장

* 근로소득장려금 산식청년의 총 소득액 × 45%(장려율) * 근로소득장려금 월 최대 지원액523,000원

www.hopegrowing.com

 

 

 

 

 

 

청년우대 청약통장

기존의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청약 기능과 소득공제 혜택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재형 기능을 강화한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다. 

 

가입대상

(개정 전) 18. 7. 31 ~ 18. 12. 31 가입한 자

나이: 만 19세 이상 ~ 만 29세 이하

소득: 직전 연도 신고소득이 있는 자로 연소득 3천만 원 이하 (근로·사업·기타소득자에 한함)

주택여부: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세대주

 

(개정 후 현재) 19. 1. 1 이후 가입 (또는 전환신규)하는 경우

나이: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소득: 직전 연도 신고소득이 있는 자로 연소득 3천만 원 이하 (근로·사업·기타소득자에 한함)

주택여부

1. 본인이 무주택인 세대주

2. 본인이 무주택이며 가입 후 3년 내 세대주 예정자

3. 무주택세대의 세대원

가입가능 기간

2018년 7월 31일 ~ 2021년 12월 31일

적용이자율

 

자세한 내용은 아래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nhuf.molit.go.kr/FP/FP07/FP0701/FP07010301.jsp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자기주도적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 (만 18세 ~ 34세)에게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취업준비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지원대상

만 18세 ~ 34세 청년 중 졸업·중퇴 후 2년 이내인 미취업자(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생애 1회) 대상

제외대상

1.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이미 지급받은 자

2. 주 20시간 초과 근로 중인 자

3. 사업자등록증이 있는 자

4. 유사사업에 참여 중인 자

지원자격

가구소득, 연령기준, 재학여부, 구직활동계획서 등 자격요건 심사

지급기간

최대 6개월(취업 시 지원 종료)

중복불가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 취업성공패키지, 실업급여, 자치단체 청년수당 유사사업, 직접일자리 사업, 청년내일채움공제 등

지원절차

온라인 청년센터로 신청(청년) → 심사 및 선정(고용센터) → 예비교육 및 카드 신청(청년) → 예비교육, 상호의무협약, 카드 발급(고용센터→청년) → 구직활동, 포인트 사용(청년) → 온라인 강의 수강, 보고서 작성·제출(청년→고용센터) → 지원급 지급(고용센터→청년)

 

자세한 내용은 워크넷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www.work.go.kr/empWelfareSrv/recommendSrv/srvEmpPolDetail.do?svno=P0003 

 

고용정책 상세

고용정책 상세 고용복지정책 고용정책 고용정책 상세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취업지원 #구직자 #청년 #청년 홈페이지 근거규정 청년고용촉진특별법 제3조(국가및지방자치단체 등의 책무) 정

www.work.go.kr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장기근속할 수 있도록 청년·기업·정부가 2년간 공동으로 적립하여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로 청년은 초기 경력형성을 통한 미래설계의 기반을 마련하고 기업은 우수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년형 지원대상

청년

나이: 만 15세 ~ 34세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 단, 3개월 이하 단기 가입 이력은 총 가입기간에서 제외한다. (방송통신, 사이버(원격대학), 학점은행제 등은 제외

기업

청년공제 가입(예성) 대상인 청년의 정규직 채용일 기준,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 중소기업

지원내용

청년

청년 본인이 2년간 300만 원(매월 125,000원)을 적립하면 정부(취업지원금 600만 원)와 기업(300만 원, 정부지원)이 공동 정립 → 2년 후 만기 공제금 1,200만 원 + α

기업 

2년간 채용유지지원금 300만원 지원
50인 미만: 기업기여금 100%를 정부가 지원
50인 이상: 기업기여금의 80%를 정부가 지원

신청기한

반드시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신청을 완료해야한다.

신청방법

워크넷 - 청년공제 홈페이지(www.work.go.kr/youngtomorrow)에서 신청
승인 완료 후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www.sbcplan.or.kr)에서 청약 신청
 

자세한 내용은 워크넷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www.work.go.kr/youngtomorrow/busi/tmrrwDeductEmpInfo.do

 

https://www.work.go.kr/youngtomorrow/busi/tmrrwDeductEmpInfo.do

사업소개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소개 청년은 장기근속과 목돈마련의 기회를, 기업은 우수인재 확보의 기회를 잡으세요. 청년내일채움공제란? -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장기근속할 수 있도록 청

www.work.go.kr

 

 

 

 

 

 

희망 두배 청년 통장

참가자 2년/3년 매월 근로소득으로 저축하는 금액의 동일한 금액을 서울시 예산 및 시민의 후원급 등으로 적입 지원해주는 통장이다. 근로장려금은 주거, 결혼, 교육, 창업 목적의 저축액에 지원된다. 저축기간은 적립개시일로부터 2년 또는 3년이며 월 저축가능 금액 및 지원내용은 아래와 같다.

 

 

신청자격

다음 1~4 자격요건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신청이 가능하다.

1. 공고일('21.8.2) 현재 근로 중인 서울시 거주자

2. 공고일이 속한 연도('21년)에 만 18세 ~ 만 34세인 출생년도 (1986.01.01 ~ 2003.12.31 출생자)

3. 공고일('21.8.2) 기준 본인 근로소득금액 기준중위소득 140% 이하(세전 월 255만 원 이하)

4. 공고일('21.8.2) 기준 부양의무자(부모·배우자)의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 2021년도 기준중위소득(부양의무자 소득인정액 기준 적용)

 

신청불가 조건 

1. 신청자 본인이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2. 신청자 본인의 부채가 5천만 원 이상인 자

3. 신청자 본인의 통장 개설이 불가능한 자

4. 신청자 본인이 고용노동부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통일부 미래행복통장, 타 지자체 유사자산형성사업 기존 참여자 및 21년 신규 참여자. (예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경기도 청년마이스터통장, 부산시 청년희망날개통장 등

5. 서울시 희말두배청년·희말플러스·꿈나래·이룸통장 및 보건복지부 유사 자산형성 사업 기존 참여가구 및 '21년 신규참여 가구

6. 서울시 청년수당 사업에 참가 중인 청년은 청년수당 지원 종료 후 신청가능.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account.welfare.seoul.kr/youth/index.action

 

희망두배청년통장

희망두배청년통장

account.welfare.seoul.kr

 

 

 

 

 

 

이번에 청년 혜택을 정리하려고 마음을 먹고 정말 놀랐다.

전국적으로 2,008건으로 청년지원 혜택이 이렇게 많았구나 싶었다. 

아래 온라인 청년 센터 홈페이지에서는 청년 정책을 비교해 볼 수 있으니 활용해 보길 권한다.

 

https://www.youthcenter.go.kr/main.do

 

온라인청년센터

 

www.youthcenter.go.kr

 

 

 

반응형